박스군 TISTORY/블로그 관리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박스군 2016. 6. 14.

목차

반응형

 

 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 

 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 

안녕하세요. 오늘은 sitemap.xml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사이트맵을 생성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티스토리 블로그를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기 위함으로 많이들 생성하는데요. 저 역시 이번에 등록하면서 생성하였기에 모르는 분들에게 도움되고자 설명법을 올려드립니다. 먼저 Online XML Sitemap Generator(바로가기)에 접속합니다.

 

 

 

 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 

 

확인하기 쉽게 순번을 매겨 보았습니다. 먼저 1번에는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해줍니다. 예를 들면, parksmiley.tistory.com 이런 형식으로 말이죠. 그 후에 보안 코드를 입력합니다. 보안 코드는 매번 다르니 잘 확인하시고 입력하시면 됩니다. 그 후에 Optional - Last modified date를 수정해주셔야 합니다. 기존에는 Take from the web server response로 돼 있는데, Use exact value(UTC)로만 변경해주시면 됩니다. 어렵지 않죠? 그 후에 나머지는 손댈 필요 없으며, "Create free XML Sitemap"을 눌러 생성해주시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 

 

상태를 통해 pages processed 창이 뜨면, 일단 기다리면 됩니다. 그 후에 COMPLETED! 문구를 확인할 수 있으며, Please "Download your Sitemap"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 그럼 "download your Sitemap"을 눌러 줍니다.

 

 

 

 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 

 

"download your Sitemap"을 눌러 들어 가면, 위와 같이 "download"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 다운로드를 눌러 작업하기 편하게 바탕화면에 다운로드 해줍니다. 그럼 바탕화면에 "Sitemap.xml" 파일이 생성됩니다. 어렵지 않죠? 이제 다 끝났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sitemap.xml XML 사이트맵 생성/만들기

 

 

생성한 사이트맵(Sitemap.xml) 파일을 티스토리에 올려주면 됩니다. 비공개로 올리셔도 되니, 이런 부분은 비공개로 올리는 것이 좋겠죠? 비공개로 올린 후에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! "속성"을 눌러주면, Sitemap.xml의 주소(URL)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 이 주소가 자신의 사이트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티스토리 사이트맵 생성하기 상당히 쉬운 편이죠? 이렇게 생성한 사이트맵을 네이버나 구글 등의 웹마스터도구에 제출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. 제출 방법은 뭐 주소만 입력해 넣어 주시면 되는 부분이기에 따로 설명하지 않았으나, 추후에 시간나면 추가적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. 이렇게 만들기만 하면 네이버 뿐만 아니라 타 사이트에도 사이트맵 제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니, 한 번쯤은 만들게 될 것 같군요.

 

 

2016/06/08 - [블로그 정보/블로그 TIP] -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하기

2016/06/12 - [블로그 정보/블로그 관리] -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- 사이트 설명 등록 편

2016/06/13 - [블로그 정보/블로그 관리] - Google Search Console 세팅(웹 크롤링)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